- AI 에이전트의 '추억'은 추론과 기억의 약자이며, 이는 에이전트가 이전 질문을 기억하고 활용하여 답변을 개선하는 능력과 관련됨 🧠
- 기억은 단기 기억과 장기 기억으로 나뉘며, 단기 기억은 슬라이딩 윈도우, 서머라이제이션, 컨버세이션 버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 🗂️
- 슬라이딩 윈도우는 자바 개더러의 윈도우 슬라이드와 관련이 있으며, 이전 채팅 내용의 일부만 기억하는 방식임 ⚙️
- 장기 기억은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숫자 형태의 벡터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관리함 🔢
- 벡터화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임베딩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데이터 간의 유사도 검색이 가능해짐 🔗
- 포스트레스SQL의 PG 벡터는 학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난리지 그래프, 다큐먼트 스토어,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도 활용 가능함 📚
-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속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벡터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사도 검색을 수행하는 데는 문제가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