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are truly in the Hackathon Era – Namanh Kapur interview [Podcast #180]
- 코딩 인터뷰의 현주소는 실제 업무와 동떨어진 '부조리한' 성격으로 인해 Roy Lee의 AI 치팅 도구 개발과 같은 반발을 낳고 있습니다. 🤖
- Roy Lee 사례는 코딩 능력보다 기업가 정신, 바이럴 마케팅, 실행력 및 배포 능력이 더 중요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 LeetCode 스타일의 DSA(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인터뷰는 본래 문제 해결 능력 평가 목적이었으나, 현재는 정답 암기 위주로 변질되었습니다. 📚
- 많은 '어려운 문제'들이 이미 해결되어, 주니어 개발자들은 주로 기존 시스템의 개선, 리팩토링, 통합 등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합니다. 🏗️
- AI 도구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코딩 작업을 자동화하여, 단순 코딩 업무에만 집중하는 개발자들의 일자리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
- 미래 개발자에게는 아키텍처 설계, 디자인 사고, 프로세스 및 전략적 사고 등 AI가 대체하기 어려운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
- 향후 코딩 인터뷰는 단순 코드 암기 대신 뇌 자극 문제, 화이트보드 토론, 대화 등을 통해 진정한 문제 해결 능력과 사고 과정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할 것입니다. 💬
- 가장 어려운 핵심 기술 문제는 학계, 연구소 또는 시니어/스태프 레벨에서 다루어지며, 일반적인 개발자 역할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