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깃 푸시는 로컬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업로드하는 명령어이며, 깃 풀은 원격 저장소의 최신 커밋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오는 명령어이다. 🚀
- 협업 시, 로컬과 원격 저장소 간 커밋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머지(merge) 또는 리베이스(rebase)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다. 🤝
- 머지는 분기된 커밋들을 병합하는 새 커밋을 생성하고, 리베이스는 로컬 커밋을 원격 커밋 히스토리에 맞춰 재배치한다. 🔀
- 충돌 해결 후에는
git add
와 git commit
또는 git rebase --continue
명령어를 사용하여 병합 또는 리베이스를 완료해야 한다. ✅
git push --force
는 원격 저장소의 커밋 내역을 로컬 저장소의 내역으로 강제로 덮어쓰는 명령어이므로,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 ⚠️
- 로컬에서 변경사항을 먼저 커밋했더라도, 원격 저장소에 먼저 푸시된 커밋이 있다면 풀(pull)을 통해 최신 변경사항을 먼저 반영해야 한다. 🔄
- 깃 유저네임은 컴퓨터에 설정된 이름이며, 깃허브 계정과는 별개로 커밋 작성자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
- 깃 패치는 원격 저장소의 새 커밋을 로컬로 가져와 분기된 상태를 확인하고, 머지 또는 리베이스를 통해 통합할 수 있도록 돕는다. 🔍
- 충돌 발생 시, 충돌 부분을 직접 수정하고
git add
후 git commit
또는 git rebase --continue
를 사용하여 해결한다. 🛠️
-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강제로 로컬에 맞추는
git push --force
는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특수한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