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개발의 기본 중 기본 - 클라이언트 서버 통신, localhost

기술노트with 알렉

2025. 10. 31.

0

#backend
#infra
  • 웹 접속은 웹 서버와의 통신을 의미하며, 이는 개발의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자 핵심입니다. 🌐
  • 웹 통신은 브라우저에서 URL 입력 시 DNS 서버를 통해 IP를 찾고, 해당 IP의 서버에 특정 포트(예: 웹 서버 80)로 접속하여 HTML 페이지를 응답받는 흐름으로 이루어집니다. 📡
  • 포트는 서버 내에서 특정 프로그램(예: 웹 서버, WAS, DB)을 식별하는 번호로, 80(웹), 8080(WAS), 3306(DB) 등 잘 알려진 포트들이 존재합니다. 🚪
  • HTML 대신 API 응답을 처리하는 API 서버는 현대 클라이언트-API 구조에서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
  • Localhost는 개발 시 자신의 컴퓨터에서 서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접속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로, 127.0.0.1 (루프백 주소)로 자신을 가리킵니다. 🏠
  • 서버 프로그램은 특정 고성능 서버에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 컴퓨터에서도 포트를 할당받아 실행될 수 있어 개발 환경 구축에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 Node.js Express 기반의 간단한 웹 서버를 로컬 환경에서 띄우고 localhost:8000으로 접속하는 과정을 통해 서버 구동 및 통신 개념을 시연했습니다. 👨‍💻
  • '기술로트(q.wiki)'는 개발 관련 지식(네트워크,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등)을 정리하고 관련 영상 링크를 제공하며, 사용자 요청 주제로 영상 제작을 지원하는 지식 공유 플랫폼입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