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 및 구축과 배포] 20. 다중 서버 리소스 제거 (영상 설명 한 번 읽어주세요)
- AWS에서 다중 서버 리소스 제거 순서: EC2 인스턴스, 키페어, 보안 그룹, 라우팅 테이블, 넷게이트웨이, 탄력적 IP, 서브넷, 인터넷 게이트웨이, VPC 순으로 제거 🗑️
- EC2 인스턴스 제거: EC2 대시보드에서 인스턴스 선택 후 '인스턴스 종료' -> '삭제'를 통해 제거 (시간 소요) ⏳
- 키페어 제거: EC2 대시보드에서 키페어 선택 후 '삭제'를 통해 제거 (삭제 기입 필요) 🔑
- 보안 그룹 제거: EC2 삭제 후 (또는 EC2 보안 그룹 세팅 제거 후) 보안 그룹 선택 후 '보안 그룹 삭제'를 통해 제거 (삭제 기입 필요) 🛡️
- 라우팅 테이블 제거: VPC 대시보드에서 라우팅 테이블 선택 후 서브넷 연결 해제 후 '삭제'를 통해 제거 (각 라우팅 테이블 ID 클릭 후 작업) 🌐
- 넷게이트웨이 및 탄력적 IP 제거: VPC 대시보드에서 넷게이트웨이 삭제 후, 탄력적 IP 주소 릴리스를 통해 제거 (탄력적 IP는 비용 발생 요인이므로 주의) 💡
- 서브넷 제거: VPC 대시보드에서 서브넷 선택 후 '서브넷 삭제'를 통해 제거 (넷게이트웨이 삭제 중일 경우 지연될 수 있음) 🏘️
- 인터넷 게이트웨이 제거: VPC 대시보드에서 인터넷 게이트웨이 선택 후 VPC에서 분리 후 '인터넷 게이트웨이 삭제'를 통해 제거 📡
- VPC 제거: VPC 대시보드에서 VPC 선택 후 'VPC 삭제'를 통해 제거 ☁️
- 다중 서버 아키텍처는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분리하여 안정성, 확장성,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구조 🏗️
- 다중 서버의 장점: 애플리케이션 부하 분산, 유연한 확장, 보안 강화, 빠른 서비스 복구 및 원인 분석 용이 📈
- 다중 서버의 단점: 운영 복잡도 증가, 비용 증가, 데이터베이스 통신 지연 가능성 (사람이 느끼기 어려움) 📉
- 다음 단계로 이중화/다중화 작업 진행 예정 (실무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