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be-coding with Gemini CLI, part 2 | Observable Flutter #68
- Gemini CLI를 활용하여 Flutter 앱 개발을 보조하는 과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
- AI 보조 코딩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관행을 따르고, 제품 요구 사항 정의, 기술 선택, MVP 정의 등의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
- 단순히 LLM의 제안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바이브 코딩'과는 대조적으로, 코드 검토와 인간의 사고를 통해 개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 Dart 팀에서 개발 중인 MCP(Machine Controllable Protocol)를 Gemini CLI에 통합하여 Flutter 문서에 더 쉽게 접근하고 코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 Puro를 사용하여 Flutter의 베타 버전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며, 여러 Flutter 버전을 동시에 사용할 때의 이점을 강조합니다. 📦
- Gemini CLI 내에서 MCP 서버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시연하며, 이를 통해 개발자는 다양한 도구와 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 스트리밍 중 컴퓨터 성능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지만, 문제 해결을 통해 개발을 계속 진행했습니다. 💻
- 과거 세션에서 개발된 YouTube 댓글 스트림 감시 및 관리 앱의 기능(댓글 새로고침, API 키 입력 등)을 확인하고 개선할 부분을 파악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