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tch This Before Vibe Coding Your Next Product
- '바이브 코딩' 대신 '에이전트 지원 코딩' 용어를 선호하며, 이를 통해 두 개의 프로덕션 SaaS 앱을 성공적으로 구축했습니다. 🤖
- 보안 및 DevOps는 핵심 고려사항으로, 배포는 수동 승인(gated)을 거치며 에이전트의 자동 배포는 허용하지 않습니다. 🔒
- 주요 기술 스택은 GPT Codeex (WSL 환경), GitHub (버전 관리), Superbase (DB), Fly.io (백엔드), Vercel (프론트엔드), Stripe (결제)를 활용합니다. 🛠️
- 에이전트 작업 방식은 최고 수준의 추론 설정, 작업당 한 세션 사용 (낮은 컨텍스트 유지), 작업 완료 시 세션 초기화를 포함합니다. 🔄
- Git 커밋 메시지는 에이전트가 작성하지만, 실제 커밋 및 푸시는 수동으로 진행하며, 에이전트의 GitHub 리포지토리 직접 접근은 엄격히 금지합니다. ✍️
- 복잡한 프로젝트는 작은 작업으로 분할하고, 에이전트에게 로컬 문서 폴더를 제공하여 참조하게 함으로써 인터넷 접근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유도합니다. 📚
- 프로젝트 시작 시 사양 및 아키텍처를 먼저 초안하고, 에이전트가 이를 기반으로 상세한 작업 목록을 생성하도록 지시합니다. 🏗️
- 코드 품질 유지를 위해 린팅을 활용하며, 에이전트에게 특정 파일만 린팅하도록 명시하여 불필요한 성능 저하를 방지합니다. ✨
- 보안 체크리스트에는 Row-level 보안, MFA, Rate Limit, CORS 보호, 환경 변수 및 시크릿 매니저를 통한 비밀 관리, 공급업체 실사, 주기적인 코드베이스 보안 스캔이 포함됩니다. ✅
- 에이전트 지원 코딩은 많은 노력과 규율이 필요하지만, 생산성 향상과 아이디어를 현실화하는 데 있어 현대 개발 스택에 환상적인 추가 요소이자 큰 기회를 제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