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AI Native Dev Coding Workflow by Patrick Debois
- AI 코딩 도구는 단순한 탭 완성에서 시작하여 다중 파일, 터미널/브라우저 피드백, 테스트 생성, 심지어 CLI 기반의 헤드리스 에이전트까지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
- AI 개발 환경은 LLM/RAG에서 함수, 다중 에이전트 협업,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개선하는 에이전트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
- AI 코딩 도구 생태계는 지난 한 해 동안 150개에서 500개 이상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
- 개발자의 역할은 코드 생산자에서 AI 에이전트를 통합하고 관리하며 검토하는 역할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
- 'AI 네이티브' 시대는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유사하지만, 개념과 기술이 4~5개월마다 빠르게 변화하며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
- AI 생성 코드의 검토는 개발자에게 인지 부하를 증가시키며, 기존의 Diff 뷰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
- 코드 검토를 돕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주석이 달린 코드, 시각적 Diff, 오디오 요약, 유연한 에디터, MCP UI 등. 👁️🗨️
- AI의 자동 커밋 기능(Aider)과 함께, 안전한 롤백을 위한 체크포인트 시스템 및 코드 파일 잠금(액세스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됩니다. 🔒
- AI 코딩 시 토큰 소모, 모델 크기, 배치 처리 등 비용 관리 문제가 새로운 고려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 개발자는 AI가 생성한 코드의 운영 책임을 지게 되면서, 과거의 'Ops' 역할과 유사하게 관리 및 운영 역할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
- 개발의 초점은 구현 관리에서 에이전트가 무엇을 만들지 '의도'를 정의하는 것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의도 기반 코딩). 🎯
- 에이전트 사양(Agents MD)의 표준화와 재사용 가능한 프롬프트/마크다운 파일을 통한 의도 표현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 GitHub의 Speclang, SpecIt, AWS의 BDD 스타일 'Ears'와 같은 명세 언어들이 의도 기반 코딩을 위해 탐색되고 있습니다. 🗣️
- 코드와 명세 간의 양방향 관계(코드에서 명세, 명세에서 코드)를 유지하고, 에이전트와의 대화 맥락을 지속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