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팩 x 알라딘] 클로드 코드로 개인 블로그 만들기
- 프로젝트를 완전히 초기 상태(노베이스)에서 시작하며, Next.js CLI를 사용하여 부트스트랩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claude.md 파일을 프로젝트의 핵심 메모리 및 규칙 저장소로 활용하여 AI와의 상호작용을 체계화하는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
- AI에게 명확한 지시(예:
ALWAYS use shasn MCP, NEVER use emoji for UI, ASK USER for permission to implement)를 제공하여 원하는 결과물을 얻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 블로그에 필요한 컴포넌트들을 목록화하고, 각 컴포넌트의 속성을 상세히 정의하며, 폴더 구조를 계획한 후 단계적으로 구현하는 반복적인 개발 방식을 소개합니다. 🧩
- 성능 최적화를 위해 가능한 경우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보다 서버 컴포넌트를 우선적으로 사용하도록 AI에 지시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
- 코드 블록 라이브러리 선택과 같은 중요한 결정은 사용자가 직접 내려야 하며, AI에게 결정을 맡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함을 역설합니다. 🤔
- AI의 컨텍스트를 주기적으로 지우고
claude.md를 영구적인 기억 장치로 활용하여 환각 현상을 줄이고 작업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전략을 설명합니다. 🗑️
src/components 아래에 UI, Common, Forms, Features와 같은 명확한 폴더 구조를 계획하여 컴포넌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 새로 구현된 컴포넌트들을 테스트하고 시연하기 위한 전용 데모 페이지를 생성하는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 AI가 잘못된 폴더에 파일을 생성하거나, 한글이 깨지거나, 계획만 요청했음에도 구현을 시도하는 등 예상치 못한 행동을 할 때 사용자가 개입하여 수정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
-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만들기 위해 상세하고 단계적인 개발 접근 방식이 중요하며, 이는 빠른 MVP 개발 방식과 대조됩니다. 🏗️
- AI가 계획 단계에서조차 구현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아직 구현하지 마"와 같은 명시적인 지시를 통해 이를 제어해야 함을 지적합니다. 🛑
claude.md 파일에 불필요한 코드 예제를 직접 작성하지 않도록 하여 컨텍스트를 절약하고 중복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