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odot Console Problem (And How to Solve It)
- Godot의 오픈 소스 특성은 콘솔 제조사의 NDA(비밀유지협약)와 충돌하여 공식적인 콘솔 내보내기 템플릿을 제공할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입니다. 🚫
- 콘솔 게임 출시를 위해서는 Sony, Microsoft, Nintendo와 같은 플랫폼 홀더의 개발자 프로그램에 가입하여 사전 승인을 받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은 수주에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 개발 키트 및 SDK 접근을 위해 일부 플랫폼은 수백 달러의 개발 하드웨어 구매 또는 임대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
- Godot 게임의 콘솔 포팅에는 세 가지 주요 옵션이 있습니다: 전문 포팅 서비스(가장 비싸고 편리), 미들웨어(예: W4 Games, 연간 $800/콘솔, 기술 작업 필요), 퍼블리셔 협력(수익 분배, 포팅 비용 부담). 🛣️
- 포팅 옵션 선택은 예산, 개발 일정, 그리고 개발팀의 기술 전문성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 포팅 후에는 안정성, 품질 표준(UI 가독성, 버튼 프롬프트), 플랫폼별 기능(업적, 법적 고지)을 확인하는 엄격한 인증(TRC) 과정을 통과해야 하며, 여러 번의 재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 콘솔 환경에 맞춰 게임 디자인을 조정해야 합니다: 컨트롤러 완벽 지원, TV 시청을 고려한 큰 텍스트와 고대비 UI, 그리고 Switch와 PS5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 성능에 맞춘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
- 포팅을 결정하기 전에 게임의 PC/모바일 성공 여부, 컨트롤러 친화성, 그리고 포팅에 필요한 자원(예산, 기술, 퍼블리셔) 확보 여부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
- 콘솔 출시는 새로운 플레이어층, 추가 수익원, 그리고 개발 스튜디오의 전문성을 높여 미래 프로젝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 처음부터 컨트롤러와 TV UI를 고려한 디자인, 저사양 하드웨어 대비, 코드 아키텍처 문서화, PC 선출시로 시장성 입증, 그리고 개발자 프로그램에 조기 신청하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