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BE] Nest.js - 3강: HTTP Stateless와 Stateful

구디사는 개발자 9Diin

2025. 10. 31.

0

#backend
#infra
  • 웹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지속적인 데이터 교환으로 이루어지며, 로그인, 페이지 이동 등 다양한 작업이 발생합니다. 🌐
  • HTTP는 기본적으로 '상태 비유지(Stateless)' 방식으로 설계되어,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로그인 여부나 이전 요청 정보를 기억하지 않습니다. 🧠❌
  • 상태 비유지 구조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매 요청마다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등 필요한 모든 정보를 서버에 전달해야 합니다. 🗣️📦
  • 서버는 전달받은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단순히 판별하여 응답하며, 이로 인해 서버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로 전환하여 문제없이 통신할 수 있습니다. 🔄✅
  • 상태 비유지(Stateless) 방식은 서버의 확장성(Scalability)과 안정성(Stability)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습니다. 🚀🛡️
  • 반대로 '상태 유지(Stateful)' 방식은 서버가 클라이언트 정보를 기억하여 편리하지만, 서버 장애 시 정보 손실 위험이 있고 확장이 어렵습니다. 💾⚠️
  • HTTP의 상태 비유지 특성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매 요청마다 자신을 증명해야 하며, 이를 위해 쿠키, 세션, 토큰, 인증 헤더 등의 개념이 등장했습니다. 🔑📜
  • 이러한 설계 철학을 이해하는 것은 API 통신 시 권한, 역할, 가드 등의 개념을 파악하고 백엔드 로직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