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 도구 연결? AI끼리 수다? MCP vs A2A 한방 정리!
- MCP는 AI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연결 규칙을 제공합니다. 마치 USB-C 포트처럼 다양한 도구와 AI 간의 호환성을 높여줍니다. 🔌
- A2A는 AI 에이전트 간의 직접적인 소통과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에이전트들이 서로의 능력을 알리고 과제를 분담하여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 MCP는 AI 에이전트가 외부 도구나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을 표준화하고, A2A는 AI 에이전트 간의 협업을 위한 통신 규약을 제공합니다. 🗣️
- MCP는 AI와 도구 사이의 만국 공통어, A2A는 AI와 AI 사이의 만국 공통어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AI 생태계가 더욱 확장될 수 있습니다. 🌐
- 랭클로우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코딩 없이도 MCP와 A2A를 GUI 환경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
- 자동차 정비소의 예시처럼, A2A는 고객 응대 및 문제 진단, MCP는 차량 수리와 같은 작업에서 AI 에이전트들이 협력하여 작업을 완수할 수 있게 합니다. 🛠️
- 구글은 A2A가 엔트로픽의 MCP를 보완하는 프로토콜이라고 밝혔으며, 함께 사용될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 표준화된 프로토콜은 다양한 개발자와 기업들이 만든 AI와 도구들이 함께 작동하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A2A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에이전트들은 서로를 발견하고 정보나 요청을 주고받는 표준 방법을 갖게 됩니다. 📡
- AI 에이전트들은 A2A를 통해 서로 대화하고, 안전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각자 잘하는 일을 나눠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