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 코드란 산업 현장에서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을 증대시키는 코드이며, 유지보수 용이성이 핵심임 💰.
- 코드 변경의 주된 원인은 도메인 변화이므로, 코드 작성 시 도메인 가역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
- 도메인 가역성이란 코드로부터 원래의 비즈니스적 이유(도메인)를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
- 코드는 도메인과 최대한 일치하게 작성하고, 코드만으로 도메인 표현이 어려울 경우 주석을 적극 활용해야 함 💬.
- 코딩 시 중복 제거, 효율성 추구보다 도메인과의 일치성을 우선해야 하며, 도메인 변경에 따른 코드 수정이 용이해야 함 🛠️.
- 프로 개발자는 도메인과 코드를 일치시키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코드를 작성하는 반면, 아마추어는 그렇지 못함 🧑💻.
- 코드릴 문제 풀이: 입력 스펙을 정확히 구현하여 도메인과 일치시키고, 유효하지 않은 입력은 즉시 예외 처리하여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확보함 🛑.
- 위닝 스코어 문제 풀이: 도메인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고, 연산자 우선순위보다 괄호를 사용하여 코드의 명확성을 높임 ➕.
- 텔레마케터 문제 풀이: 트랜잭션 조건을 한 번에 해소하여 코드의 응집도를 높이고, 조건의 순서가 코드에 반영되지 않도록 주의함 📞.
- 트리키 문제 풀이: 예외 처리 가능성이 있는 경우 while 문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주석을 통해 코드의 의도를 명확히 함 💡.
- 아큐파이 파킹 문제 풀이: 미래의 변경 가능성을 고려하여 코드를 단순하게 유지하고, 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