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커 컴포즈를 활용하여 React, Spring, MySQL을 연동하고 실행하는 환경 구축한다. 🔗
-
React는 CSS를 그리기 위한 JavaScript를 사용하고, Spring은 서버 기능을 담고, MySQL은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
이 연동된 환경은 AWS 등으로 배포가 용이하며, Kubernetes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
-
React는 Nginx를 통해 프록시 서버가 설정되어 port 80을 통해 접속하고, React는 port 3000으로 작동한다. 📶
-
Spring은 port 8080에서 실행되고, MySQL은 port 3306에서 실행된다. 📊
-
React는 데이터를 Spring 서버로 요청하여 처리하고, Spring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가져와 React에 전송한다. 🔁
-
서버 간 통신을 위해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설정이 필요하며, Nginx는 이를 통해 서로 통신하도록 지원한다. 🤝
-
다음 시간에는 React로 간단한 화면 구성 연습 후 Spring 서버와 연동하고, Nginx를 통한 프록시 설정을 도입하여 완전한 연동 환경 구축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