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어다시는 2020년 팬데믹 시기 사용자 및 직원 수가 급증하면서 기존 모놀리thic 구조에서 미세 서비스( Microservices) 아키텍처로 전환하였다. 📈
- 도어다시는 다른 서비스에 대한 의존성 문제로 인해 미세 서비스 구축 과정에서 캐스케이딩 실패를 겪었다. ⚠️
- 도어다시의 경우, 데이터베이스 작업 latency가 증가하면서 발생한 문제가 기타 서비스에까지 영향을 미쳐 종국으로 API 요청 실패로 이어졌다. 🐌
- 미세 서비스 아키텍처의 단점으로는 복잡성 증가와 의존성 문제 발생 가능성, 개발과 유지보수 어려움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