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덱스 non interactive 모드와 커스텀 출력
- 인터랙티브 모드와 넌 인터랙티브 모드 구분: 인터랙티브 모드는 사용자-AI 간의 상호작용 대화 방식이며, 넌 인터랙티브 모드는 단 한 번의 요청에 대한 응답만 받는 방식입니다. 🔄
- 넌 인터랙티브 모드의 주요 용도: 사람이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컴퓨터 간의 통신, 특히 CI/CD(지속적 통합/배포) 파이프라인에서 코드 리뷰나 테스트 수행 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 CI/CD에서의 장점: 넌 인터랙티브 모드는 서버가 대화 종료 시점을 고민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요청으로 응답을 받아 최종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
- 넌 인터랙티브 모드 실행 방법:
codex execute 명령어 뒤에 프롬프트를 직접 이어 붙여 실행하며, 사용자 요청과 코덱스의 응답을 한 번에 받을 수 있습니다. 💻
- 사용자 정의 출력 형식 (Custom Output): 응답을 특정 JSON 스키마 형식에 맞춰 받을 수 있어,
status, summary, next_step 등 필요한 필드를 구조화된 형태로 얻을 수 있습니다. 📝
- JSON 스키마 활용의 이점: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코덱스 응답을 UI에 쉽게 표기할 수 있도록 하며,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데이터 처리 및 통합을 간소화합니다. 🎨
- 데이터 무결성 및 AI 응답 품질 향상: JSON 스키마를 사용하면 잘못된 정보가 앱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AI 에이전트가 데이터 구조 지침을 받아 더 정확하고 품질 높은 응답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 향후 실습 예고: 사용자 정의 출력 형식을 활용하여 코드 리뷰를 받고, 이를 HTML에 표기하는 라이브 코딩 실습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