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 렌더링 대신 Activity 컴포넌트를 도입하여 DOM에서 컴포넌트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숨김/표시 상태를 제어, 불필요한 마운트/언마운트 연산을 줄이고 상태를 유지하여 렌더링 부담을 경감합니다. 🎭
useEffect의 의존성 배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seEvent 훅이 추가되어, 이펙트 내부의 이벤트 로직을 분리함으로써 불필요한 재실행을 방지하고 ESLint 규칙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코드 작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
서버 컴포넌트에서 외부 비동기 작업(fetch, DB 요청)을 React 렌더링 생명주기와 연결하여 더 이상 필요 없는 작업을 자동으로 취소(abort)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및 DB 리소스 낭비를 방지하고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개선합니다. 📡
크롬 개발자 도구에 Scheduler와 Components 트랙이 추가되어 React 내부 작업의 우선순위, 컴포넌트 렌더링 및 이펙트 실행 시점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성능 병목 구간 분석 및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SSR과 SSG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렌더링 방식인 부분 사전 렌더링을 통해 앱의 일부는 미리 렌더링하여 CDN에 배포하고 나머지는 서버에서 이어서 렌더링하여 고급 렌더링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며, React가 빌드-서버-클라이언트 전 구간을 통합 관리하려는 방향성을 보여줍니다. 🚀
SSR Suspense 동작 개선, Node.js 환경 함수 추가, eslint-plugin-react-hooks v6 업데이트로 React 컴파일러 기반 규칙 활성화, useId 훅의 프리픽스 변경을 통해 View Transitions 지원 및 XML 1.0 이름 규격 유효성을 보장하는 등 개발자 경험과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