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테코톡] 캉골의 좋은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기준
- 좋은 코드 작성을 위한 기준으로 응집도와 결합도를 제시 🤝
- 응집도는 수정될 코드가 항상 함께 수정되는지, 코드 수정이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를 의미 🎯
- 파일 구조는 기능 중심에서 도메인 중심으로 변경하여 코드 의존성 감소 및 연관 기능 관리를 용이하게 함 📁
- 폼 응집도는 필드 단위와 폼 전체 단위로 나뉘며, 각각 독립적인 검증 로직과 중앙 집중식 관리 방식을 가짐 📝
- 필드 단위 응집도는 독립적인 검증 및 재사용성에 유리, 폼 전체 단위 응집도는 단계별 입력 및 순서 의존성에 유리 ✨
- 결합도는 코드 수정 시 영향 범위를 의미하며, 변경 예측 가능성이 높은 코드가 수정하기 쉬움 ⚙️
- 커스텀 훅의 책임을 분리하여 수정에 따른 영향 범위를 줄이고, Props Drilling은 조합 패턴 또는 Context API를 활용하여 해소 가능 ⚛️
- Props Drilling 해소 시 컴포넌트의 명확한 데이터 사용 표현 및 Context API의 성능 문제를 고려해야 함 🤔
- 높은 응집도와 낮은 결합도를 추구하여 유지보수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