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쉽게! ] #0. 코딩 못해도 따라하는 복붙 주식 자동화 0강. 실습을 위한 설치와 세팅 (키움 REST API)
- HTS/MTS를 넘어 직접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식 데이터를 분석하고 자동 매매를 실행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 키움 REST API는 사용자가 직접 만든 프로그램으로 시세 조회, 잔고 확인, 주문 등 다양한 주식 관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 API는 '이렇게 요청하면 내가 이렇게 해 줄게'라고 정해둔 설명서로, 우리는 이 매뉴얼에 따라 키움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
- REST는 API를 만드는 데 널리 쓰이는 특정 형식으로, 개발자가 아니라면 깊이 이해할 필요 없이 API의 한 종류로 이해해도 무방합니다. 🌐
- 실습을 위해 윈도우 운영체제(맥 사용자는 가상 환경), 스마트폰에 영웅문S# 앱 설치 및 키움 증권 계좌 개설이 필요합니다. 💻
- 키움 REST API 서비스 신청은 보안 프로그램 설치, 영웅문S# 앱을 통한 간편 로그인, 필수 항목 동의 절차를 거쳐 진행됩니다. 🔐
- 프로그램이 특정 계좌 기능을 요청하기 위한 비밀번호와 같은 '앱키'를 발급받고, 보안을 위해 프로그램이 실행될 IP 주소를 등록해야 합니다. 🔑
- 실제 투자 계좌 외에 가상의 계좌를 이용해 개발 및 테스트할 수 있는 '모의 투자' 환경과 전용 앱키도 제공됩니다. 🧪
-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설치할 때, 컴퓨터가 파이썬 코드를 실행할 수 있도록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
- 코드 에디터로는 AI 기능이 강화된 '커서(Cursor)'를 사용하며, 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에 활용됩니다. 🤖
- 커서 에디터 설정에서 키움 API 예제 코드와의 호환성을 위해 '탭 대신 스페이스 여러 개 입력' 옵션을 해제해야 합니다. ↔️
- 파이썬에서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데 필요한 'requests' 라이브러리는 터미널에서
pip install requests 명령어로 설치합니다. 📦
- API 사용의 첫 단계는 앱키와 앱 시크릿을 이용해 키움 서버로부터 '접근 토큰'을 발급받는 것으로, 이는 API 기능 사용을 위한 '티켓'과 같습니다. 🎟️
- 반복적인 키와 URL 입력을 피하기 위해
config.py 파일에 앱키, 시크릿 키, 호스트 주소, 모의 투자 여부 등의 설정을 중앙 집중화하여 관리합니다. ⚙️
- 발급받은 접근 토큰과 시장 구분 코드를 활용하여 코스피 종목 리스트와 같은 종목 정보를 조회하는 기능을 실습하며 API 활용의 기초를 다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