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란 무엇이고 어떤 한계를 가지고 있는가 3편 (LLM AI 학습방법과 AI를 어떻게 볼 것인가)
- AI는 단어 학습 시 수많은 데이터를 활용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단어들을 잘게 쪼개어 학습시킴 🍎.
- 사과의 예시처럼, 단어는 문맥(목적어, 주어), 긍/부정, 종류 등에 따라 벡터화되어 저장되고, 조건에 맞는 단어를 찾아 문장에 삽입함 🎯.
- 유사한 단어들의 랜덤 선택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지만, 때로는 일관성 없는 결과가 발생하기도 함 🎲.
- 개발자들은 자연스러움을 위해 다양한 꼼수를 사용하며, 그림 생성 AI도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함 🎨.
- 그림 AI는 이미지를 패치 단위로 쪼개고, 자동차의 앞부분을 생성할 때 타이어와 같은 요소를 랜덤하게 가져와 조합함 🖼️.
- AI의 자유도는 높지만, 동일한 결과를 다시 생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사용자는 AI가 제공하는 정보에 속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음 🤔.
- AI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되므로, 미래 예측보다는 과거 정보 활용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음 ⏳.
- 인간은 AI처럼 데이터 기반 학습 외에도 우주의 원리나 직관과 같은 고유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 🧠.
- AI는 인간을 대체하는 존재가 아닌, 인간이 학습시키고 사용하는 도구로 봐야 함 🛠️.
- 생성형 AI는 자연어 기반으로 데이터를 꺼내고 응답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하며, AGI는 인간 지능을 초월하는 개념으로 논의되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