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1 문제란 부모 엔티티를 가져오는 쿼리 1개와 자식 엔티티들을 각각 가져오는 쿼리 n개를 실행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
- 엔티티 그래프(@EntityGraph)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부모 엔티티와 자식 엔티티를 한 번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
@Query애노테이션과JOIN FETCH절을 사용하여 커스텀 쿼리를 작성하여 N+1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N+1 문제는 데이터베이스 쿼리 수를 증가시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 Spring Data JPA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데이터 접근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10분 테코톡] 예니의 Kotlin Flow](https://i3.ytimg.com/vi/NCLmN26zki0/hqdefault.jpg)

![[토비 살롱🌱] 성장핑 잼민츄 - 토스페이먼츠 테크 리드 김재민 님](https://i2.ytimg.com/vi/uZDXF6EiiPI/hqdefault.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