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카카오모빌리티
November 13, 20241회
React Compiler - 우리는 memo를 잊을 수 있을까요?
간단 소개
React Compiler는 자동 메모이제이션을 통해 React 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혁신적인 도구이다.
AI Summary
- React Compiler의 등장 배경
- React의 핵심은 상태에 따른 UI 업데이트지만, 과도한 반응성으로 불필요한 렌더링 발생
useCallback,useMemo,React.memo등의 메모이제이션 API로 해결 가능하나, 코드 복잡성 증가 및 유지보수 어려움 발생- React 팀은 React Forget을 통해 자동 메모이제이션 아이디어 제시, 이후 React Compiler로 발전
- React Compiler의 작동 방식 및 효과
- React Compiler는 Babel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 코드를 최적화된 형태로 변환
useMemoCache를 활용하여 값 변경을 추적, 불필요한 연산 감소 및 JSX 요소 효율적 캐싱- Meta의 서비스 적용 결과, 상호작용 속도 향상, 페이지 로드 속도 개선, 코드 라인 감소 등의 효과 확인
- React의 진화 방향
- React는 기존 반응성 시스템 유지하면서 컴파일러를 통해 개발자 코드 최적화
- 혁신과 안정성 사이의 균형을 추구하며, 사용자 경험 유지하면서 성능 향상 도모
Next Feeds
콘텐츠를 조립하는 결제탭 피드 서버의 코드 아키텍처
카카오페이 결제탭 피드 서버는 SDU, Provider-Consumer 패턴, 3중화 캐싱을 통해 유연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합니다.
SDUBFFMSAProvider-Consumerkotlin.Result
2024. 11. 12.
카카오페이

CLI로 환경변수 관리하기
프론트엔드 개발 환경에서 환경변수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쉘 스크립트에서 CLI 도구로 전환한 경험과 교훈을 공유합니다.
환경변수CLIAWS Secrets Manager쉘 스크립트프론트엔드
2024. 11. 12.
쏘카

Hacktoberfest 2024 후기
플라네타리움 DX팀의 Hacktoberfest 2024 스프린트 행사 후기. 온/오프라인 행사 진행 및 Libplanet, lib9c, Nine Chronicles에 대한 주요 기여 내용 소개.
Hacktoberfest오픈소스LibplanetNine Chronicles기여
2024. 11. 12.
플라네타리움
보이지 않는 부식현상은 어떻게 검출해낼 수 있을까?
미래 모빌리티의 품질 확보를 위해 플라스틱 부식 메커니즘 분석, 보이지 않는 부식 연구, 잠재 고장 현상과의 연결성 탐색이 필요하다.
부식열화플라스틱기공전자파 노이즈
2024. 11. 11.
현대자동차

CJ올리브영과 함께한 CJ온스타일 IT meetup!
CJ온스타일이 올리브영 TPM을 초청하여 애자일 방법론 기반의 협업 방식과 조직 문화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밋업 후 긍정적 효과를 확인했다.
CJ온스타일CJ올리브영IT 밋업애자일TPM
2024. 11. 11.
CJ온스타일
OpenInfra Asia Summit 2024 돌아보기
OpenInfra Asia Summit 2024 참여 후기: 디지털 주권, 라이선스 변경, 보안, AI 등 주요 트렌드와 NHN Cloud의 OpenStack 활용 사례 소개.
OpenInfraOpenStackNHN Cloud디지털 주권카타 컨테이너
2024. 11. 11.
N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