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당근
April 10, 20251회
의존성 그래프를 활용한 프로젝트 시각화 — 사이드 이펙트 한눈에 파악하기

간단 소개
의존성 그래프를 활용한 프로젝트 시각화로 사이드 이펙트 파악 및 코드 파악 시간 단축 방법을 제시한다.
AI Summary
- 문제 정의 및 해결 방향
- 사이드 이펙트를 늦게 발견하는 문제점을 5 Whys 기법으로 분석, 근본 원인이 많은 파일의 의존 관계 파악의 어려움임을 규명.
- 설계 개선과 시각화 두 가지 해결책 중, 빠른 문제 해결을 위해 의존성 그래프를 활용한 시각화에 집중.
- 의존성 그래프 활용 사례
- Bottom-Up 방식: 특정 컴포넌트가 어디에 사용되는지 파악 시, Dependency Cruiser를 통해 의존성 그래프를 생성, 파일 탐색 시간 단축 및 팀원과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
- Top-Down 방식: 특정 페이지가 어떤 파일에 영향을 받는지 파악 시, 하위 의존성을 시각화하여 코드 복잡도를 한눈에 파악, 일정 산정의 근거로 활용.
- 코드 리뷰: Pull Request에 의존성 그래프를 추가하여 리뷰 효율성을 높이고, 코드베이스 전체의 복잡도 관리.
- 팀 협업: 프로젝트 전체 구조를 의존성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신규 기여자의 온보딩을 도움.
- 결론
- 의존성 그래프를 활용한 프로젝트 시각화는 코드 파악 시간을 단축시키고, 더 빠른 실행과 좋은 프로덕트 개발에 기여함.
Next Feeds

Playwright로 로그인을, Lighthouse로 성능을: 인증 페이지 성능측정 자동화
Playwright와 Lighthouse를 활용하여 인증 페이지 성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CloudWatch와 Grafana를 통해 성능을 시각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PlaywrightLighthouse성능 측정자동화Grafana
2025. 4. 10.
펫프렌즈
AI 접근제어의 대전환: Guardrails를 넘어서 MCP-PAM으로!
AI 시스템의 보안 강화를 위해 Guardrails의 한계를 넘어 MCP-PAM을 통한 정책 기반 접근제어 및 위협 대응 전략을 제시한다.
AI 접근제어GuardrailsMCP-PAM프롬프트 주입보안 아키텍처
2025. 4. 10.
QueryPie
AI 접근제어의 대전환: Guardrails를 넘어서 MCP-PAM으로!
AI 접근제어, Guardrails의 한계를 넘어 MCP-PAM으로! AI 보안의 새로운 기준 제시 및 위협 모델 분석과 대응 전략을 소개합니다.
AI 접근제어GuardrailsMCPPAM위협 모델
2025. 4. 10.
QueryPie
AI 접근제어의 대전환: Guardrails를 넘어서 MCP-PAM으로!
AI 시스템의 보안 강화를 위해 기존 Guardrails의 한계를 극복하고, MCP-PAM을 통해 정책 기반 접근제어와 PAM을 결합하여 AI 거버넌스를 실현하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AI 접근제어GuardrailsMCP-PAM생성형 AI보안 취약성
2025. 4. 10.
QueryPie

MWAA-Oracle DB 쿼리 수행 방법
MWAA에서 Oracle DB 쿼리 시 발생하는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Thin/Thick 모드 전환을 통한 해결 방법을 제시합니다.
MWAAOracle DBSQLExecuteQueryOperatororacledbThick 모드
2025. 4. 10.
베스핀글로벌

AWS DataZone에서 OpenLineage 기반의 View 테이블 데이터 계보 그리기
AWS DataZone에서 OpenLineage 기반으로 View 테이블 데이터 계보를 그리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WS DataZoneOpenLineage데이터 계보View 테이블AWS Lambda
2025. 4. 9.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