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 및 구축과 배포] 11. 다중 서버란? (영상 설명 한 번 읽어주세요)
- 다중 서버 아키텍처는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분리된 인스턴스에서 운영하여 각 서버가 자신의 역할에 집중하도록 합니다. 🌐
- 웹 서버는 퍼블릭 서브넷에,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프라이빗 서브넷에 배치하고 보안 그룹으로 접근을 엄격히 제어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
- 사용자 요청은 웹 서버를 거쳐 처리되며, 데이터베이스 접근은 사설 IP를 통해 내부적으로 이루어지고, 최종 HTML은 웹 서버에서 완성되어 응답됩니다. 🔄
- 애플리케이션 부하가 데이터베이스 리소스를 잠식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되며, 각 레이어별로 유연한 확장 전략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외부에 숨겨 내부망 보호를 강화하고, 한쪽 서버에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쪽은 유지되어 복구 및 원인 분석이 용이합니다. 🛡️
- 서버 수가 늘어나면서 운영 복잡도와 인프라 비용이 증가하며, 각 서버의 설정 및 관리에 대한 부담이 발생합니다. 💸
- 초기 트래픽이 적을 때는 오버헤드이지만, 서비스 성장, 24/7 가용성, 엄격한 보안/컴플라이언스 요구 사항, 고가용성 SLA 충족 시 도입을 고려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