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스텀 리소스를 활용한 전역 상태 관리는 게임 개발에 유용하다. 💡
- Unity의 Scriptable Object 아키텍처 패턴에서 영감을 받았다. 🧑💻
- 게임 상태를 노드에 저장하는 대신 전역적으로 사용 가능한 커스텀 리소스에 저장한다. 💾
- 커스텀 리소스는 데이터 컨테이너 역할을 하며, 노드에서 데이터를 사용한다. 📦
- 게임 데이터와 노드 계층 구조를 분리하면 프로토타입 제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
- 모듈식 씬을 만들 수 있으며, 디버깅에도 유용하다. 🐛
- 카드 게임 예시에서 플레이어 상태, 카드, 덱 등을 커스텀 리소스로 관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