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만든 서비스, 보안점검하는 법 알려드립니다. | 바이브코딩 고급 노하우 #1
- AI 코딩 서비스의 보안 및 리팩토링은 필수적이지만, 기존 AI 에이전트는 전체 코드베이스를 다루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
- 개인 정보, 의료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는 데이터 유출 방지를 위해 철저한 보안 점검이 필수입니다. 🔒
- 리팩토링은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여 버그 발생을 줄이고, 장기적인 프로젝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
- AI 에이전트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컨텍스트 사용을 최소화하므로, 대규모 코드 분석 작업에 비효율적입니다. 💰
- '컨텍스트'는 AI가 정보를 이해하고 추론하는 용량을 의미하며, 컨텍스트 엔지니어링은 AI에 최대한 많은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작업 품질을 높이는 기법입니다. 🧠
- 대규모 코드 분석(보안 점검, 리팩토링)을 위해서는
repomix와 같은 도구로 전체 코드베이스를 추출해야 합니다. 📦
- 추출된 코드베이스는 Gemini 2.5 Pro와 같이 컨텍스트 용량이 큰 LLM에 입력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요청합니다. 🚀
- 분석된 상세 작업 계획(어떤 파일을 어떻게 수정할지)을 복사하여 Claude Code와 같은 코딩 전문 AI 에이전트에게 실제 코드 작업을 지시합니다. ✍️
- 이 방법은 분석에 강한 LLM과 코딩에 강한 에이전트의 장점을 결합하여 보안 점검, 리팩토링, 문서화 등 복잡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
- 프롬프트 작성 시 핵심 키워드를 포함하고, 요약본부터 응답하도록 요청하면 AI의 추론 과정을 최적화하고 검토 편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