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lidating Requests With Spring Validation - Spring Boot 4 Basics With Kotlin
- Spring Boot에서 요청 유효성 검사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버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
- Spring Validatio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DTO(Data Transfer Object) 클래스 내에서 어노테이션을 통해 유효성 검사 규칙을 정의할 수 있다. 📚
- @Length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문자열의 최소 및 최대 길이를 지정할 수 있으며, @Pattern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정규 표현식 기반의 유효성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
- 유효성 검사 실패 시 반환되는 기본 오류 메시지를 사용자 정의 예외 핸들러를 통해 개선하여 클라이언트에게 더 명확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
- 사용자 정의 어노테이션을 생성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유효성 검사 패턴(예: 비밀번호 유효성 검사)을 캡슐화하고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
- Spring Validation은 대부분의 필드 유효성 검사에 적합하지만,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비스 레이어에서 추가적인 유효성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
- 'vali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유효성 검사 규칙을 적용하고, 유효성 검사 실패 시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 ⚠️
- 예외 핸들러에서 BindingResult를 사용하여 유효성 검사 오류를 처리하고, 오류 메시지를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할 수 있다. 💡
- Spring Boot Validation을 통해 개발자는 클라이언트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하고,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방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