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컴퓨터 하드디스크, 어떤 폴더가 용량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을까요? 파이썬을 이용해 폴더별 용량을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프로젝트, 그 첫 번째 시간입니다! 🚀
이번 영상에서는 코딩의 가장 첫 단계인 개발 환경 설정을 함께 진행합니다. VS Code에서 작업 폴더를 만들고, 파이썬 가상 환경(Venv)을 설정하는 방법부터 파이썬의 강력한 내장 라이브러리 pathlib을 사용해 파일과 폴더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기초를 탄탄히 다집니다.
코딩이 처음이신 분들도 쉽게 따라 하며 파일 관리 자동화의 첫걸음을 뗄 수 있습니다.
📚 이번 영상에서 배울 것
VS Code에서 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관리
파이썬 가상 환경(Venv) 설정 및 필요성 이해
주피터 대화형 창을 활용한 실시간 코드 테스트
pathlib Path 객체로 파일 및 폴더 경로 다루기
폴더 내 파일 및 하위 폴더 목록 자동으로 추출하기
이 시리즈는 '혼자 만들면서 공부하는 파이썬' 도서와 함께하면 더욱 좋습니다.
📘 누구나 혼자 만들 수 있습니다!
👉 이론과 문법 학습에 그치지 않고, 배운 지식을 직접 실전에 적용하고자 하는 독자들을 위해 '혼자 만들면서 공부하는'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 일상과 업무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프로젝트를 직접 완성하는 것이 핵심 목표입니다.
📚 관련 도서 구매처 ('혼자 만들면서 공부하는 파이썬')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
알라딘: http://aladin.kr/p/lzsPq
한빛미디어: https://www.hanbit.co.kr/store/books/...
🧩 타임라인 & 핵심 내용
00:00:29 파이썬 개발 환경 설정: 실습을 위한 작업 폴더를 생성하고 VS Code에서 불러옵니다.
00:01:08 Venv 가상 환경 설정: F1 키를 눌러 명령 팔레트를 열고, 독립된 파이썬 개발 환경인 Venv를 설정합니다.
00:01:32 주피터 대화형 창 설정: Shift+Enter로 코드를 바로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주피터 관련 설정을 확인합니다.
00:02:01 pathlib으로 폴더 크기 측정 준비: 파일 시스템을 쉽게 다룰 수 있는 pathlib 패키지의 Path 클래스를 불러옵니다.
00:03:15 현재 작업 폴더 경로 설정: _file_ 변수와 Path 객체를 이용해 현재 작업 중인 폴더(WORK_DIR)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00:05:03 하위 폴더 생성 및 관리: / 연산자로 하위 폴더 경로를 지정하고, .mkdir() 함수로 실제 폴더를 생성하는 방법을 실습합니다.
00:07:01 파일 목록 추출 및 필터링: .iterdir()와 .is_file(), .is_dir() 함수를 사용하여 폴더 내 파일과 하위 폴더 목록을 추출하고 종류별로 구분합니다.
00:09:10 개별 파일 크기 측정하기: Path 객체의 .stat().st_size 속성을 이용해 각 파일의 크기를 바이트(byte) 단위로 확인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00:10:59 파일 이름과 크기를 함께 출력하기: f-string 문법을 활용하여 파일의 이름과 측정된 크기를 한 줄에 보기 쉽게 출력합니다.
00:11:47 폴더 내 모든 파일의 총용량 계산하기: 반복문과 변수를 사용하여 폴더 내에 있는 모든 파일의 크기를 합산하고, 최종 합계(total_size)를 구합니다.
🙋♀️ 질문은 댓글 또는 저자의 오픈채팅으로 문의하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립니다!
#파이썬프로젝트 #파이썬실전 #폴더관리 #컴퓨터용량관리 #VSCode #pathlib #프로그래밍초보 #코딩프로젝트 #파이썬튜토리얼 #실무자동화 #혼자공부하는파이썬 #파이썬기초 #개발환경설정 #한빛미디어 #파이썬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