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부트 기초 강의] 8강. 5.1 ~ 5.2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 Form Handling, Create & Update
- 스프링 MVC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폼 화면을 통해 데이터 생성 및 수정 과정을 설명 📝
- 클라이언트 요청 시 서버는 회원 정보 입력 UI를 제공 (GET 방식) 💻
- 사용자가 UI를 통해 입력한 정보는 폼 형태로 서버에 POST 방식으로 전달 📤
- 컨트롤러는 GET 요청 시 폼 화면을 반환하고, POST 요청 시 데이터를 처리 🔄
- 폼의 input 태그 name 속성은 모델 객체의 프로퍼티 이름과 동일하게 설정해야 함 🏷️
- 스프링은 폼 데이터를 객체에 바인딩하여 컨트롤러 메서드에 전달 📦
-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위해 JPA, H2 데이터베이스 사용 🗄️
- 롬복을 사용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 🪡
- 폼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엔티티 객체를 생성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
- 데이터 수정 시, 수정할 항목의 ID를 파라미터로 전달받아 폼을 초기화 🔑
- 폼에서 수정된 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
- H2 콘솔을 통해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확인하고, 데이터의 생성 및 수정을 검증 ✅
- 동일한 URL에 대해 GET 방식은 폼 요청, POST 방식은 데이터 처리로 구분하여 컨트롤러 구현 💡
- 리다이렉트를 사용하여 작업 완료 후 특정 화면으로 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