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tching to Unreal | How to Transition from Unity Visual Scripting to Unreal Engine Blueprint
- 유니티 비주얼 스크립팅과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는 노드 그래프, 이벤트 기반 로직 등 유사점이 많음. 🤝
- 블루프린트 함수 라이브러리는 유니티의 서브그래프와 유사하게 재사용 가능한 로직을 제공하지만, 관리 방식에 차이가 있음. 📚
- 언리얼 엔진에서는 클래스 간의 데이터 변환 시 명시적인 캐스팅이 필요하며, 이는 타입 안전성을 높임. 🛡️
- 블루프린트에서는 컴포넌트 접근 시 게터 노드를 사용해야 하며, 이는 유니티와 다른 방식임. ⚙️
-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블루프린트는 유니티 비주얼 스크립팅보다 성능이 더 뛰어날 수 있음. 🚀
- 블루프린트는 디버깅 도구(중단점, 런타임 흐름 피드백, 프로파일러, 참조 뷰어)를 제공하여 로직 문제 해결 및 최적화에 유용함. 🐞
- 블루프린트 로직을 구성할 때 가독성을 높이고, 캐스팅 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함. 💡
- 유니티 비주얼 스크립팅 그래프 스크린샷을 블루프린트 배경으로 활용하여 시각적 참조를 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