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언리얼 페스트 서울 2025] Day2 K-POP 가상 무대 제작 워크플로: 음악 방송 제작 사례를 중심으로

Unreal Engine KR

2025. 10. 23.

0

#game
#ai
  • 메타로켓은 2D 콘텐츠를 3D 게임 엔진(언리얼)으로 재활용하여 메타버스 로케이션을 구현하고, 버추얼 아이돌 방송, 하이브리드 콘서트, 몰입형 IP 콘텐츠, 무대 제작 툴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
  • K-POP 음악 방송 제작 워크플로우의 특성: 지상파 음악 방송은 2주 내에 기획부터 송출까지 초고속으로 진행되며, 무대 디자인, 조명, 카메라 콘티 등 모든 요소가 긴밀하게 연동됩니다. ⏱️
  • 가상 무대 제작 워크플로우의 동시성: 언리얼 엔진 기반 가상 무대 제작은 약 한 달간 순차적이면서도 동시적으로 진행되며, 연출곡 선정부터 렌더링까지 각 파트(무대 디자인, VJ 소스, DMX 조명, 카메라, 특수효과)가 유기적으로 연결됩니다. 🔄
  • 가상 무대 디자인의 핵심 요소: 실제 무대를 가상으로 구현할 때 무대 바닥, LED 디자인(가장 중요), 전식(띠 장식), 트러스(철골 구조물) 등 네 가지 주요 요소를 언리얼 엔진에서 정교하게 제작하여 현실감을 높입니다. 🏗️
  • LED VJ 소스 제작의 중요성: 무대 LED에 들어가는 영상 소스(VJ 소스)는 LED 디자인에 맞춰 UV 가이드를 활용하고, 실제 LED 비율과 간격을 일치시키며, FPS 및 해상도를 퍼포먼스 목표에 따라 최적화하여 제작됩니다. 💡
  • DMX 기반 조명 디자인 및 연동: 실제 방송/공연에서 사용되는 조명 콘솔을 DMX를 통해 언리얼 엔진과 연결하여 조명 큐를 레코딩하고, 무대 디자인에 맞춰 조명을 배치하며, 내부 개발 툴(StageBack)을 통해 손쉬운 조명 프리셋 제작 및 제어를 지원합니다. 🌈
  • 카메라 워크의 현실 반영: 실제 음악 방송의 카메라 배치(고정식, 핸드헬드, 지미집, 레일 카메라)와 세팅을 가상 무대에 그대로 구현하여 카메라 레벨을 만들고, 시퀀서의 카메라 컷 트랙을 활용해 콘티에 맞춰 작업합니다. 🎥
  • 관객 응원봉 및 특수 효과 구현: DMX 조명 컬러에 맞춰 관객 응원봉 색상을 제어하고(Material Parameter Collection), 나이아가라 시스템을 활용하여 꽃가루, 비눗방울, 연기, 화염 등 다양한 특수 효과를 구현하여 몰입감을 더합니다. ✨
  • 현실과 가상의 이질감 최소화 철학: 메타로켓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면서도 기존 방송 시청자들이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최대한 현실의 워크플로우와 용어를 따르고, 실제 조명 기기의 물리적 특성까지 가상에서 재현하여 현실감을 극대화합니다. 🤝
  • DMX 기반 실가상 조명 연동 기술: 하나의 조명 콘솔로 실제 DMX 조명과 아트넷(Art-Net)을 통한 언리얼 엔진 내 가상 조명을 동시에 제어하여, 현실과 가상 공간의 조명 효과를 완벽하게 동기화하고 연결감을 부여합니다. 🔗
  • StageBack 솔루션 개발: 언리얼 엔진 플러그인 형태로 개발 중인 StageBack은 초급자도 쉽게 가상 무대를 제작할 수 있도록 무대 템플릿, 조명, 특수효과, 관객, 카메라 제어 등 직관적인 UI/UX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