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raform AWS VPC Tutorial - Public, Private, and Isolated Subnets
- 목표는 VPC 서브넷 유형, 네트워크 구성 요소, 라우트 테이블 등을 다루는 것. 🌐
- Terraform 코드를 최적화하는 방법, 동일한 유형의 리소스를 복사/붙여넣기 없이 생성하는 방법 소개. 🛠️
count
를 사용하여 여러 리소스 생성, Terraform 모듈과 유사하지만 몇 가지 단점 존재. 🔢
for_each
루프를 사용하여 맵을 반복하고 키와 값을 활용하는 더 유연한 접근 방식 제시. 🗺️
- 조건부 변수를 사용하여 특정 리소스를 필요할 때만 생성하는 방법 설명. 🤔
- 보안 그룹 인바운드 규칙과 같이 반복되는 블록이 있는 Terraform 리소스 처리 방법. 🛡️
- 퍼블릭 서브넷은 주로 로드 밸런서에 사용되며, 프라이빗 서브넷에 VM을 배포하고 로드 밸런서를 통해 인터넷에 노출. ⚖️
- 프라이빗 서브넷은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하면서 VM을 직접적인 인터넷 노출로부터 격리. 🔒
- 고립된 서브넷은 인터넷 액세스가 전혀 없어 보안이 강화되지만, 더 많은 인프라 필요. 🧱
- Terraform에서 AWS 프로바이더 선언 및 버전 제약 설정 중요. ✅
- 환경 접두사를 사용하여 네이밍 컨벤션을 따르면 환경 구분이 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