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e Seoul 2025] Addressables을 사용한 최신 모범 사례
- 어드레서블 에셋 번들의 결정성을 확보하여 불필요한 다운로드를 줄이고 UX를 개선해야 합니다. ⚙️
- 빌드 레이아웃 리포트를 활용하여 에셋 번들의 비결정성 원인을 분석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
- 어펜드 해시를 사용하여 에셋 번들 관련 문제를 쉽게 디버깅하고, 노 해시는 디스크 공간을 절약합니다. 💾
- 리모트 카탈로그 네이밍 전략을 워크플로우에 맞게 선택하여 콘텐츠 업데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 대규모 프로젝트는 여러 유니티 프로젝트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코드 공유를 위한 커스텀 패키지 사용을 고려합니다. 🧩
- 라벨을 사용하여 선택적 로딩을 구현하고, 로드패스 브랜칭을 통해 다양한 빌드 환경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
- 리메퍼로 인한 메모리 급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런트 컨텐츠 그루핑을 적용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합니다. 🧠
- 에셋 레퍼런스 또는 에셋 라벨 레퍼런스를 사용하여 에셋 로딩 스크립트의 안정성을 높이고 오류를 줄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