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to Unreal Engine Transition: Workflows for Mobile Development | Unreal Fest Orlando 2025
- Unity와 달리 Unreal Engine은 빈 레벨에서도 게임 모드, 플레이어 컨트롤러 등 핵심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를 자동으로 구성하여 개발자가 반복적인 시스템 구축 시간을 절약하고 견고한 기반 위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 Unreal의 유연하고 검증된 게임플레이 프레임워크는 FPS, RTS,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장르에 적용 가능하며, 개발자는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인 개발을 할 수 있습니다. 🎮
- Unity의 게임 오브젝트와 컴포넌트 개념과 유사하게, Unreal은 레벨 내 모든 객체를 Actor로, 그 속성을 ActorComponent로 정의하며, 이는 강력한 객체 지향 상속 구조를 가집니다. 🎭
- Unity의 프리팹과 달리 Unreal의 블루프린트는 클래스 기반으로 완전한 상속을 지원하며, 시각적 스크립팅을 통해 C++ 코드 없이도 복잡한 게임 로직을 구현할 수 있어 아티스트도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 블루프린트는 C++ 코드 확인, 브레이크포인트 설정, 런타임 로직 흐름 시각화 등 강력한 디버깅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입니다. 💡
- 블루프린트 전용 Diff 도구를 통해 버전 관리가 용이하며, 텍스트로 복사/붙여넣기하여 쉽게 공유할 수 있어 협업에 유리합니다. 🤝
- 블루프린트는 바이트코드로 컴파일되어 팩 파일로 패키징 가능하므로, 초기 설치 후에도 새로운 게임 로직을 DLC 형태로 배포할 수 있어 Unity의 에셋 번들보다 모바일 콘텐츠 업데이트에 더 유연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