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nodejs11 heroku git

허광남

2025. 8. 27.

0

#backend
#devops
  • Heroku는 Node.js를 지원하는 호스팅 서비스이며, 다양한 언어를 지원한다. 🌐
  • Node.js 호스팅은 Heroku 외에도 여러 서비스가 존재하며, 각 서비스마다 지원하는 Node.js 버전과 웹소켓 지원 여부가 다르다. 📡
  • Heroku 툴벨트는 Heroku를 사용하기 위한 도구 모음이며, 깃(Git)도 함께 설치된다. 🧰
  • 깃(Git)은 파일 변경 이력을 관리하는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로컬 환경에서도 코드 변경 사항을 기록하고 복원할 수 있다. 💾
  • 깃허브(GitHub)는 깃을 엔진으로 하는 서비스로, 프로젝트별 소스 관리를 지원하며, 깃허브 외에도 빗버킷(Bitbucket)과 같은 경쟁 서비스가 있다. 🐙
  • 깃 사용 전 사용자 설정(이름, 이메일)을 해야 하며, 깃 init 명령어로 깃 저장소를 초기화할 수 있다. 👤
  • 깃의 파일 상태는 워크스페이스(작업 파일), 스테이지(인덱스), 리포지토리(로컬/원격 저장소)로 구분된다. 📂
  • 깃 add 명령어로 워크스페이스의 파일을 스테이지로 옮기고, commit 명령어로 스테이지의 파일을 로컬 리포지토리로 저장한다. ✅
  • 깃 로그 명령어로 커밋 이력을 확인하고, reset 명령어로 특정 버전으로 되돌릴 수 있다. 🔙
  • .gitignore 파일을 사용하여 버전 관리에서 제외할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지정할 수 있다. 🙈
  • 깃 풀(pull)은 원격 저장소의 코드를 가져오는 명령어이고, 깃 푸시(push)는 로컬 코드를 원격 저장소에 올리는 명령어이다. 📤
  • 깃 브랜치(branch)를 사용하여 독립적인 기능 개발 후 병합할 수 있다. 🌿
  • 브레킷(Brackets) 에디터에 깃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깃 명령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
  • Heroku 로그인 후 깃 클론(clone) 명령어로 Heroku 샘플 프로젝트를 가져올 수 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