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오피스 웹 애플리케이션 구성요소 분류에 대한 DDD 관점의 분석 및 재분류 연구
- 백오피스 웹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를 컴포넌트, 시스템 도메인, 비즈니스 도메인으로 분류하고 DDD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개발 전략을 제시 💡
- 컴포넌트 프로젝트 진행 상황 공유: 컨테이너, 인증, 첨부 파일, 데이터 소스, 이력 관리 기능 완료 ✅
- 회원 관리, 메뉴 관리 등은 커스터마이징 요소가 많아 기존 컴포넌트와 성격이 다름을 인지 🤔
- DDD의 서브 도메인 개념 (핵심, 지원, 일반)을 활용하여 기존 분류를 매핑하고 개발 전략을 구체화 🗺️
- 핵심 하위 도메인(코어): 비즈니스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기능 영역 (예: 물류의 주문 처리) 🎯
- 지원 하위 도메인: 비즈니스 운영에 필수적이지만 차별화되지 않는 영역, 맞춤형 개발 필요 (예: 회원 관리) 🛠️
- 일반 하위 도메인: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능, 상용 솔루션 또는 오픈소스 활용 (예: 데이터 그리드) 📦
- 컴포넌트는 일반 하위 도메인에 해당하며, 기술적 컴포넌트(컨테이너)는 아키텍처 의존적 ⚙️
- 시스템 도메인은 지원 하위 도메인에 해당하며, 회원 관리, 메뉴 관리 등이 포함 👥
- 비즈니스 도메인은 핵심 하위 도메인(코어)에 해당하며, 업종별 핵심 기능 (예: 의료의 의료 청구) 🏥
- 향후 스프링 배치 및 스프링 스테이트 머신 강의 제공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