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dex 세션 데이터는
~/.codex/sessions/ 경로에 연도, 월, 타임스탬프, 세션 ID를 포함한 JSON 파일로 저장됩니다. 📁
- 세션 JSON 파일은 LM 모델의 추론 과정(
agent_reasoning), 토큰 사용량(token_count), 사용자 메시지(user_message), LM 응답(response_item) 등 대화의 모든 기록을 한 줄씩 담고 있습니다. 📜
model_verbosity 설정은 LM 모델의 추론 과정 상세도를 조절하며, low로 설정 시 컨텍스트 윈도우 공간을 절약하여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에 불필요한 추론 과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
- 세션 매니저는 Mac/Windows에서 실행 가능한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 세션 목록을 보여주고 각 세션의 대화 내용을 미리보기 형태로 제공하며, 선택된 세션을
codex resume 명령으로 재개할 수 있어야 합니다. 💻
- 바이브 코딩 시, 코덱스에게 적합한 프로그래밍 언어/프레임워크를 추천받거나 직접 선택하여 개발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코덱스 CLI를 처음 실행하는 디렉토리에서는 "codex to work in this folder without asking for approve" 옵션을 선택하여 지속적인 권한 요청 없이 작업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
- 바이브 코딩 중에는 여러 코덱스 세션을 동시에 실행하여 프로그래밍과 같은 주 작업 외에 Git 설정 등 보조 작업을 병렬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
- 프로그래밍 작업 시
GPT-5 Codex와 high 모델 상세도 설정이 더 효과적일 수 있으며, 간단한 작업에는 medium 상세도를 사용하여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
- 컴파일 오류 발생 시, 해당 오류 메시지를 코덱스에 붙여넣어 자동으로 수정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이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오류도 처리 가능합니다. 🐞
- 개발 과정에서
guide.md와 같은 가이드 문서를 작성하여 나중에 세션을 재개하거나 다른 에이전트가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습니다. 📖
- 세션 매니저 개발 과정에서 데이터 경로 지정, 세션 재개 기능 구현, 한글 깨짐 현상 해결 등 여러 차례의 디버깅과 개선 작업을 통해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
- 바이브 코딩은 개념을 만들고 구현하며 학습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AI의 도움을 받아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