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 In The Prompt, 내가 쓰는 인공지능이 해커와 몰래..?!
- MITM(중간자 공격)에서 영감을 받은 새로운 해킹 기법, MITP(Man In The Prompt) 공격이 등장 🚨
- MITP 공격은 사용자가 AI와 대화하는 과정에 해커가 몰래 껴들어 정보를 탈취하거나 조작하는 방식 🦹
-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플러그인)을 통해 사용자의 AI 대화에 침투 가능 🦹♀️
- GPT, Gemini, Copilot, Claude, 딥식 등 다양한 AI 플랫폼에서 MITP 공격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됨 🤖
- 해커는 백그라운드에서 AI에 질문을 던지고, 답변을 가로채 사용자 정보를 빼돌리거나, Gmail, Google Drive 등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탈취할 수 있음 😈
- 피해자는 해킹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움 (대화 기록 삭제) 🕵️
- AI 사용 시 돔 객체 상호작용 모니터링이 보안 대응 방법이 될 수 있지만, 일반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적용하기는 어려움 😥
- 일반 사용자가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방어는 AI 관련 확장 프로그램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 🛡️
- 확장 프로그램 설치 시 개발사를 신뢰할 수 있는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함 🤔
- 해커는 유튜브, 틱톡 등 SNS를 통해 악성 확장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설치를 유도할 수 있음 📢
- 출처가 불분명한 코드(확장 프로그램, 개인 프로그램, 모드, 애드온 등) 실행에 주의해야 함 ⛔
- 'AI 플러그인 사용 시 월수익 천만 원 보장' 등 과장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 🤑
- 해외 계정으로 저렴하게 유튜브 프리미엄을 이용하는 방법 등도 해킹 위험을 높일 수 있으므로 주의 🌎
- 해커는 사용자의 관심사를 이용하여 해킹 수법을 개발하므로 항상 경계해야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