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DE solver는 ResNet과 유사한 구조로, 심층 학습 모듈로 활용 가능합니다. 🧱
- NFE(Number of Function Evaluation)는 ODE solver의 정확도와 계산 속도의 균형을 맞추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 NFE 값은 Runge-Kutta method를 이용하여 4차 및 5차 근사값의 차이를 통해 결정됩니다. 🔬
- 5차 근사값과 4차 근사값의 차이가 작을수록, 정답 궤적에 가까워지고 NFE 값은 작아집니다. 🎯
- NFE 값 조절을 통해 ODE solver의 정확도와 계산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토비 살롱🌱] 해명하는 잼민이 - 토스페이먼츠 테크리드 김재민님](https://i1.ytimg.com/vi/xf66UH1fCz4/hqdefault.jpg)



![[팟캐스트 망분리] 4편 - 망분리는 어떻게 완화될까?](https://i1.ytimg.com/vi/hiXGDxY4LkE/hqdefault.jpg)
![[FE] 리액트 - 40강: 가짜 데이터는 끝! 진짜 데이터 불러오기](https://i1.ytimg.com/vi/d9742wpy4P4/hqdefault.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