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out a Web Application (Tanstack, Drizzle, Tailwind, Claude Code)
- Tanstack, Drizzle, Tailwind, Claude Code를 활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Strudel 사운드 마켓플레이스)을 구축 중이며, 이는 'Agentic Jumpstart' 코스의 템플릿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
- AI 기반 개발의 핵심은 잘 구조화되고 문서화된 시작점(템플릿)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는 Claude Code 및 Cursor와 같은 AI 도구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 🧠
- 제공되는 템플릿은 사용자 인증(Stripe), 파일 업로드(R2), 음악 플레이어 및 재생 목록 시스템을 포함하여 모범적인 아키텍처를 보여줍니다. 🏗️
- AI 도구 활용에 있어 Claude Code는 새로운 UI/기능 구축에, GPT-5는 복잡한 버그 수정 및 코드 리팩토링에 선호되며, 종종 "경쟁"하거나 "두 번째 의견"을 얻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 현재 프로젝트는 기존 음악 플레이어 기능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Strudel 코드(음악 코드)를 업로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리팩토링 작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 Next.js보다 Tanstack Start를 선호하는데, 이는 Tanstack이 더 간단하고 메타 프레임워크로의 진입이 용이하다고 판단하며, 데이터 페칭에는 Tanstack Query를 계속 사용합니다. 🚀
- AI를 활용한 문서 중심 개발(DDD)에 대해서는 토큰 소모가 많고 반복적인 개발 방식보다 재미가 없다고 평가하며, 소규모 프로젝트에서는 비효율적이라고 봅니다. ✍️
-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AI 사용 시 생성된 코드를 맹목적으로 수용하기보다 반드시 이해하고 검토할 것을 조언하여 잠재적인 문제를 방지하도록 합니다. 🧐
- LLM 시장은 새로운 모델의 출시, 저렴하거나 무료 사용 기회, 그리고 다양한 AI 코딩 도구 간의 기능 복제 및 수렴이라는 끊임없는 주기를 겪을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
- 코딩 외 작업으로 인한 번아웃을 인정하면서도,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이 번아웃 극복에 도움이 된다고 언급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