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를 이용한 시스템 설계 및 구축과 배포] 21. 웹 서버 다중화 란? (영상 설명 한 번 읽어주세요)
- 웹 서버 다중화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여러 서버로 확장하여 운영하는 아키텍처를 의미합니다. 🏢
- 웹 서버 다중화는 동일한 코드와 설정을 가진 여러 웹 서버 인스턴스를 동시에 가동하여 외부 요청을 분산 처리합니다. ⚖️
- 로드 밸런서는 사용자 요청을 받아 건강 상태가 양호한 웹 서버 인스턴스로 전달합니다. 🚦
- 웹 서버 세션 공유를 위해 레디스 같은 외부 세션 저장소를 사용하거나 로드 밸런서의 세션 고정 기능을 활용합니다. 🔗
- 수평 확장은 동일한 웹 서버 인스턴스를 여러 대 띄워 트래픽을 분산하는 방식이며, 오토 스케일링으로 서버 수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
- 수직 확장은 한 서버의 CPU, 메모리, 디스크 성능을 업그레이드하여 처리 용량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
- 웹 서버 다중화의 장점은 트래픽 급증 시 유연한 서비스 용량 조절, 장애 발생 시 서비스 중단 최소화, 비용 절감, 무중단 배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
- 웹 서버 다중화의 단점은 초기 설정 및 운영 복잡성 증가, 세션 공유 전략에 따른 부하 집중 가능성, 외부 세션 스토어 도입 시 비용 발생, DB가 병목 지점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 트래픽 폭증이 예상되거나 무중단 서비스가 필수일 때 웹 서버 다중화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
- 수강신청과 같이 트래픽이 급증하는 이벤트에 웹 서버 다중화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이 가능합니다. 🧑🎓
- 롤링 배포나 블루그린 배포를 통해 무중단으로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