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분 정리) 20년 IT아키텍처의 변화를 한눈에
- 1990년대는 클라이언트-서버(CS) 환경으로, 윈도우 95와 RDBMS가 IT 아키텍처의 주류를 이룸 💾. 중앙 서버에 단말이 접속하는 형태였으며,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하여 데이터를 집중 관리함.
- 2000년대는 닷컴 시대로, 웹(WWW)과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 시대가 열림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를 활용한 3티어 구조가 발전했으며, 램스택(Linux, Apache, MySQL, PHP)으로 웹사이트를 구축함.
- 2010년대는 모바일 시대가 도래하며, 스마트폰과 모바일 앱이 급성장 📱. 아마존의 AWS를 필두로 클라우드 서비스(IaaS, SaaS)가 등장하고, 빅데이터 기술이 AI로 연결되는 흐름이 나타남.
-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데브옵스(DevOps), 애자일(Agile) 방법론 등이 등장하여 서비스의 안정성과 개발 효율성을 높임 🛠️. 넷플릭스와 같은 대형 서비스에서 MSA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작은 단위로 분리하고 관리함.
- 현재는 AI 시대에 접어들어, 챗GPT와 같은 AI 기술이 발전하고 모든 데이터가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가 도래 🔗. GPU와 같은 하드웨어 발전이 AI 발전을 가속화하며, AI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
- MSA 아키텍처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으며, AI 시대에 적합한 아키텍처 구성에 대한 고민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