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분 테코톡] 밍트의 Spring Framework에서 OOP 실천하기
- 객체 지향은 시스템을 객체 중심으로 바라보는 관점으로, 책임 분리를 통해 유지보수에 유리한 구조를 만든다. 🧩
- 예약 시스템 API 개발 시 객체 지향 방식은 가독성과 재사용성이 높지만, 쿼리 성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
- 데이터베이스 중심 개발은 쿼리 한 번으로 데이터를 불러와 성능이 뛰어나지만, 비즈니스 로직이 복잡해질수록 유지보수가 어려워진다. 🧮
- 단순 조회 및 성능이 중요한 경우 데이터베이스 중심 개발,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 및 잦은 변경에는 객체 지향 개발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
- 레거시 시스템에 객체 지향을 점진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Strangler Pattern을 적용, 새로운 기능부터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한다. 🌿
- Feature Toggle을 사용하여 새로운 기능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안전하게 롤백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한다. 🛡️
- 완벽한 객체 지향 코드는 존재할 수 없지만, 객체 지향 원칙은 좋은 설계를 위한 나침반 역할을 할 수 있다. 🧭
- 객체 지향을 현실의 제약 속에서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