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ing cross-platform non-game applications with Godot – HP van Braam – GodotCon2025
- Godot 엔진은 비디오 게임이 아닌 나노기술 설계 및 교육 도구인 'Mepon Molecular Science and Engineering Platform One (MP1)' 개발에 활용되었습니다. 🎮
- 나노기술 선구자 Eric Drexler의 의뢰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3D 시각화와 초보자를 위한 쉬운 접근성을 위해 게임 엔진을 선택했습니다. 🔬
- 핵심 목표는 기존의 복잡하고 사용자 경험이 좋지 않은 오픈소스 분자 동역학 시뮬레이션 도구들을 Godot 기반의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통합하는 것이었습니다. 🤝
- 기부 기반 프로젝트로 예산 제약이 있었기에, Linux, Windows, OSX 등 다양한 플랫폼을 저비용으로 지원하는 Godot의 크로스 플랫폼 기능이 필수적이었습니다. 🌍
- Godot 에디터 자체가 Godot로 만들어져 있어, 게임 엔진임에도 불구하고 복잡하고 풍부한 비게임용 UI 시스템 구축에 매우 적합했습니다. 🖥️
- GDScript의 빠른 개발 및 반복(iteration) 속도는 과학자 및 UI 디자이너와의 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피드백을 반영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
- Godot 엔진과 Python 기반의 과학 도구들 간의 통신은 ZeroMQ 메시지 큐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각 환경의 격리성을 유지하면서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으로는 사용자 경험(UX) 개선 및 빠른 반복 개발, Godot 4.0 이후의 쉬운 크로스 플랫폼 빌드, GDScript의 효율성, ZeroMQ를 통한 Python 연동의 용이성이 꼽힙니다. ✅
-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OSX의 전역 메뉴바와 같은 플랫폼별 사용자 편의 기능 구현에 추가 작업이 필요하며, GPU 사용량이 여전히 다소 높다는 점이 언급되었습니다. 🛠️
- 6,500개 이상의 원자를 60 FPS로 실시간 렌더링하는 등 복잡한 분자 구조 시각화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