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카카오
July 4, 20251회
바이브 코딩으로 48시간 만에 250명 규모 해커톤 AI 심사 시스템 구축기

간단 소개
바이브 코딩으로 48시간 만에 250명 규모 해커톤 AI 심사 시스템을 구축한 경험 공유 및 AI 개발의 가능성과 한계 분석.
AI Summary
- 해커톤 AI 심사 시스템 구축 배경
- 카카오 10K 해커톤에서 AI 도구를 활용한 심사 필요성 대두
- Gemini를 이용한 시연 영상 심사 아이디어에서 프로젝트 시작
- AI 활용 개발 과정
- v0를 이용한 초기 프로토타입 및 화면 설계, Claude Code를 이용한 프론트엔드/백엔드 개발
- Spring AI, Kotlin 기반 백엔드 프로젝트 구성, API 명세 기반 코드 자동 생성
- Google OAuth2 인증 및 JWT 세션 유지 구현
- 배포 및 운영 과정의 어려움과 교훈
- 배포 환경에서 Google 로그인 문제 발생, k8s 설정 오류 해결
- 어드민 기능 전면 개편, 코드베이스 증가에 따른 AI 활용 전략 수정
- 심사 프롬프트의 중요성 인식, 숏츠 영상 분석 불가 문제 발생
- ELO Rating 기반 동료 평가 시스템 구축 및 최종 결과 도출
- 바이브 코딩의 가능성과 한계, 개발자의 경험과 통찰력의 중요성 강조
Next Feeds

연간 LLM 호출 비용 25% 절감, 인턴이 도전한 시맨틱 캐싱 도입 기록
당근 채팅팀 인턴의 시맨틱 캐싱 도입으로 LLM 호출 비용을 25% 절감한 사례와 향후 확장 계획을 소개합니다.
LLM시맨틱 캐싱비용 절감AI머신러닝
2025. 7. 3.
당근

Amazon Q Developer 를 이용한 엑심베이의 JDK 자동화 업그레이드 사례
엑심베이는 Amazon Q Developer를 활용하여 JDK 업그레이드를 자동화하고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켰습니다.
Amazon Q DeveloperJDK 업그레이드자동화개발 생산성엑심베이
2025. 7. 3.
AWS

CVPR 2025 참관기: 고품질 인물 생성을 위한 HG-DPO 연구 소개
CVPR 2025에서 카카오 AI팀이 발표한 HG-DPO 연구는 Diffusion model 기반 인물 이미지 생성 모델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DPO 학습 방식이다.
CVPR 2025HG-DPODiffusion model이미지 생성카카오 AI
2025. 7. 3.
카카오

AI가 지켜보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노이즈 제거부터 장애 대응까지
AI를 활용하여 데이터 파이프라인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장애 대응을 자동화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I데이터 파이프라인운영 자동화장애 처리Noise 제거
2025. 7. 2.
Naver d2

Nexthink가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를 사용하여 실시간 알림을 구축한 방법
Nexthink는 Amazon Managed Service for Apache Flink를 사용하여 실시간 알림 시스템을 구축, 확장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켰습니다.
NexthinkApache FlinkAmazon MSK실시간 알림VDI
2025. 7. 2.
AWS

여기어때의 성장 지원 제도
여기어때는 온라인 교육, 외부 교육, 도서 구매, 사외 강사 특강 등 다양한 성장 지원 제도를 통해 구성원의 역량 개발을 적극 지원한다.
성장교육지원역량여기어때
2025. 7. 2.
여기어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