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레이스는 요청이 시스템에 들어오고 응답이 전달되는 전체적인 여정을 나타낸다. 🗺️
- 스팬은 트레이스 내의 특정 작업 단위를 나타내며, API 요청, 데이터베이스 조회, 서비스 호출 등으로 이루어진다. ⚙️
- 트레이스는 스팬의 부모-자식 관계를 통해 전체적인 흐름을 보여주며, 각 스팬은 부모 스팬 그리고 시간 소요 및 오류 정보를 가지고 있다. 👪
- 트레이스와 스팬을 혼동하면 서비스 간 맥락을 잃고 요청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
- 각 작업 단위를 스팬으로 추적하고 하나의 요청에 대한 전체적인 맥락을 보여주는 트레이스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