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P 개념과 사용법-AI Coding Tool 날개달기
-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LLM(Large Language Model)이 다양한 툴(Slack, Google Drive, GitHub 등)과 효율적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
- MCP 서버는 LLM이 활용할 수 있는 툴들을 제공하며, 각 툴들은 LLM이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
- MCP를 사용하면 LLM은 최신 정보를 활용하고, 다양한 툴들을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 MCP 서버 추가 방법은 STDIO, SSE, HTTP 세 가지가 있으며, HTTP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 컨텍스트 7은 최신 기술 문서들을 자동으로 업데이트하여 LLM에게 제공하는 MCP 서버입니다. 📚
- 플레이라이트는 브라우저 자동화 도구로, LLM이 브라우저를 제어하여 웹사이트 테스트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파이어크롤은 웹사이트 크롤링에 유용한 MCP로, 웹 페이지의 정보를 스크랩할 수 있습니다. 🕷️
- 플레이라이트 MCP를 사용하여 E2E(End-to-End)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는 웹사이트의 주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검증하는 데 유용합니다. ✅
- 클로드 데스크탑, VS 코드, 터미널 등 다양한 환경에서 MCP 서버를 추가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 MCP를 활용하면 AI 코딩 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더 똑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