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Destruction in UE5 with the Chaos Destruction System | GDC 2025
- UE5 Chaos Destruction 시스템을 사용하여 게임 내 파괴 효과의 퀄리티와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한 GDC 2025 강연 🚀
- 파괴 에셋의 렌더링 성능 향상을 위해 Nanite 활성화 및 Root Proxy 활용을 권장 💎
- Nanite를 사용하면 LOD 자동 로딩 및 지오메트리 압축을 통한 에셋 크기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 Root Proxy는 파괴 전 메시를 대체하여 초기 렌더링 부하를 줄이고, ISM을 통해 인스턴스화하여 성능을 최적화 ⚙️
- Remove on Break 기능을 통해 파괴된 파편의 제거 시점 및 방식을 세밀하게 제어하여 리지드 바디 수를 관리 🗑️
- Remove on Sleep 기능을 사용하여 특정 시간 동안 정지한 파편을 제거하고, 플랫폼별로 제거 타이머를 조정하여 성능을 최적화 ⏱️
- One-Way Interaction 설정을 통해 파편 간의 충돌을 단순화하여 충돌 감지 성능을 향상시키고, 과도한 연쇄 반응을 방지 💥
- 클러스터 파괴를 프레임당 제한하는 콘솔 변수를 사용하여 예측 불가능한 파괴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 🎯
- 데미지 전파 기능을 통해 에너지 흡수 및 전달을 에뮬레이션하여 파괴 효과를 더욱 사실적으로 표현 💡
- Break Damage Propagation은 파괴 후 남은 에너지를 주변 조각으로 전달하여 연쇄 파괴를 유도 ⛓️
- Shock Propagation은 충격 에너지를 전달하여 재질의 강도에 따라 파괴 범위를 조절 🛡️
- Damage Threshold를 조정하여 파괴에 필요한 최소 데미지를 설정하고, 파괴의 강도와 범위를 제어 🌡️
- Material Fractalization을 통해 파괴 시 재질의 텍스처가 늘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고, UV 스케일링을 통해 텍스처 밀도를 유지 🖼️
- Radial Impulse를 사용하여 폭발과 같은 효과를 만들고, 파괴된 조각에 힘을 가하여 더욱 역동적인 장면 연출 💨
- 파괴 효과에 사운드를 추가하여 몰입감을 높이고, 파괴 시점에 맞춰 사운드를 트리거하여 현실감을 더함 🔊
- 파괴 효과를 시각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디테일 텍스처를 추가하고, 노멀 맵을 조정하여 표면의 디테일을 강조 🎨
- 파괴 효과의 성능과 퀄리티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파라미터와 기능을 활용하여 게임에 최적화된 파괴 시스템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