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
컬리
July 1, 20251회
우리 팀에도 Jarvis 가 생겼다 – 생성형 AI 로 만든 에러 분석가 이야기

간단 소개
컬리팀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에러 분석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높인 사례를 소개하며, AI 비서 Jarvis의 개발 과정과 성과, 그리고 미래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AI Summary
- 에러 로그 분석의 어려움과 Jarvis의 탄생
- 개발 중 발생하는 에러 로그 분석에 많은 시간 소요, 특히 주니어 개발자에게 어려움.
- 에러 발생 시 즉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AI 기반 에러 분석 비서 'Jarvis' 개발.
- Jarvis의 구성 및 개선 과정
- Slack 알림 수신, Gemini를 활용한 에러 분석 및 조치 가이드 제공.
- LLM 응답 품질 향상을 위해 구체적인 프롬프트 규칙 설정 및 반복 실험 진행.
- MCP(Model Context Protocol) 도입으로 Jarvis에 에러 메시지, 관련 소스 코드 등 추가 정보 제공.
- Jarvis의 성과 및 미래
- 에러 대응 시간 단축 및 팀원들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
- 과거 해결 방법 학습을 통해 더욱 정확하고 현장감 있는 해결책 제시 목표.
-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 및 학습을 통해 더욱 현명한 에러 분석 비서로 발전 기대.
Next Feeds

비동기 요청-응답 패턴으로 풀어낸 발주 서비스 개발기
올리브영 발주 서비스 개선 사례: Kafka 기반 비동기 요청-응답 아키텍처 구축을 통해 성능, 안정성, 확장성을 향상시키고, 중복 발주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비동기Kafka발주 서비스요청-응답 패턴ReplyingKafkaTemplate
2025. 6. 30.
올리브영

AB180 개발팀의 AWS 비용 관리 여정: 청구서 확인부터 Fin Ops 문화까지
AB180 개발팀의 AWS 비용 관리 여정: FinOps 대시보드 구축, 운영 프로세스, 시스템 고도화, 그리고 FinOps 문화.
AWS비용 관리FinOps자동화태그 전략
2025. 6. 30.
AB180

C++에서 안정적인 멀티 스레드 코드를 위한 스레드 안전성 개념 정리
C++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스레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개념(데이터 레이스, 연산 간 선후 관계, 기본 스레드 안전성)을 설명합니다.
데이터 레이스스레드 안전성동기화atomicmutex
2025. 6. 30.
Naver d2

Thread-safety in C++
C++ 멀티 스레드 환경에서 안정적인 코드 작성을 위한 스레드 안전성 개념 (Data race, Basic thread safety, 동기화)을 설명한다.
Thread-safetyData raceSequenced-beforeSynchronizes-withstd::atomic
2025. 6. 30.
Naver d2

기업간 전자 문서 교환을 위한 AWS상에서의 EDI처리 자동화
AWS 서비스를 활용하여 기업 간 전자 문서 교환(EDI) 처리를 자동화하고, 비용 절감 및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EDIAWS자동화HIPAAB2B Data Interchange
2025. 6. 30.
AWS

LLM 그 이후: A2A의 멀티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시대
A2A와 MCP 프로토콜을 통해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협업과 외부 도구 연결을 표준화하고 AI 오케스트레이션을 실현합니다.
A2AMCP멀티 에이전트오케스트레이션LLM
2025. 6. 30.
교보dts